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1인당25만원 지원 전국민 민생회복 지원금에 대해서 들어보신적 있으실까요?? 지난 총선 당시 각 정당에서 민생살리기 위한 정책들과 공약들이 쏟아져 나왔었죠. 그 가운데 국민 1인당 2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지원금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전국민에게 지급했던 재난지원금과 비슷한 형식의 정부 지원금입니다. 민생회복 지원금은 어떤방식으로 어떻게 지원될 지 알아볼까요??   민생회복 지원금 지난 총선시 더불어 민주당 이재명대표가 제안한 정책으로, 민생경제에 활력을 넣어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민생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을 말합니다. 코로나 재난지원금과 비슷하게 내수 경제를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제안한 정책입니다.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액 및 지급방식제안금액은.. 2024. 4. 22.
초등학생 용돈카드! 퍼핀카드에서 경제교육까지 한번에 은행 방문 없이 만들 수 있는 용돈카드에 대해서 아시나요??어른들도 가계부 쓰기를 작심삼일... 아이들은 더더군다나 더 어렵게 느껴지죠... 그런데 현금으로 용돈을 주게되면 한번에 나가서 다 써버리고 자기가 어디에 쓴 줄도 모르게됩니다. 그런 소비성 습관을 잡아주고 확인하면서 소비성 습관을 잡아줄 수 있는 용돈카드가 있습니다. 용돈생활을 자동으로 기록해주고 관리해주고 분석해주는 용돈카드 퍼.핀.카.드 입니다.     퍼핀카드는  1. 초등학생 이상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가입가능2. 카드 뒷면 자녀 실명표기3. 자녀의 카드사용내역 및 잔액 실시간 조회 가능4. 부모가 카드신청/분실신고/해지 가능5. 온라인결제, 간편페이 결제기능 6. KB국민카드 전가맹점 결제     간편하게 가입 발급 확인까지 한번에 진행.. 2024. 4. 20.
[2024] 교육급여 신청과 바우처 사용처 알아보기 새학기가 시작된지 어느덧 한달이 지나가고 학교에서 공문들이 많이 날라오는 시기들이 있을 때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교육급여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리려고 합니다.  교육급여는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받을 수 있는 복지대상은 아니고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만 받을 수 있는 복지제도입니다.   오늘은 2024 교육급여 신청과 바우처 사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교육급여의 취지는 꿈을 가진 아이들이 생활이 어려워 꺼져가는교육의 등북을 밝힐 수 있게 교육부를 포함한 17개 시 ·도 교육청과 학국장학 재단에서 제공하는 교육지원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육급여생계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필요한 교육급여를 지급하고, 빈곤층 교육비의 부담을 줄여주고 실질적인.. 2024. 4. 19.
최고 330만원까지!! 근로/자녀 장려금 알고계시나요?? 최고 3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에 대해서 소개해 드려보려고 합니다.   근로장려금제도는 어떤건가요???일은 계속 하고 있는데 소득이 적어 실질적 생활이 여러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은제외)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서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하게 됩니다.    근로장려금 지급가능액  최대 330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니, 총 소득기준금액을 확인하고 지원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구분단독가구외벌이가구맞벌이가구.. 2024. 4. 18.
[2024] 청년월세 2차 한시 특별지원으로 도움받기 !! 조건 및 신청방법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높은 금리와 높은 물가 변동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청년들에게 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복지서비스입니다.     청년월세지원대상 만 19세 ~34세 독립거주하는 무주택 청년대상 (청약통장 가입필수)        - 2024년 신청가능 출생연도 : 1989년~ 2005년생         -2025년 신청가능 출생연도 : 1990년 ~ 2006년생 청년 본인소득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및 재산가액 1. 22억 이하       청년가구 = 청년 + 배우자 + 직계비속 +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민법상 가족 구성       부모포함 원가구 소득이 중위 100% 이하 및 재산가액 4.7억 이하       원가구 = 청년독립가구 + 1촌 이.. 2024. 4. 17.
반응형